우리말 띄어쓰기 헷갈리는 표현 ②: '되어지다' vs. '되다' 어떤 게 맞을까? 🤯
말할 때는 자연스럽게 쓰지만, 막상 글로 적으려 하면 헷갈리는 표현 중 하나!
바로 '되어지다'와 '되다', 둘 다 맞는 걸까요? 오늘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!
1. '되어지다' vs. '되다' 정답은?
✔ 정답: ✅ ‘되다’ (간단하게 쓰는 게 맞음)
🚫 잘못된 표현: ❌ ‘되어지다’ (불필요한 이중 피동)
2. 왜 ‘되다’가 맞을까?
✔ ‘되다’ 자체가 피동형 동사이기 때문이에요.
✔ ‘되다’에 또다시 ‘~어지다’(피동 표현)를 붙이면 과한 표현이 됩니다.
📝 예문:
✔ 그 문제는 쉽게 해결되었다. (O)
✔ 새로운 정책이 시행되었다. (O)
❌ 그 문제는 쉽게 해결되어졌다. (X)
❌ 새로운 정책이 시행되어졌다. (X)
3. 헷갈리지 않는 방법!
🔹 ‘되다’ 자체가 피동형이므로 ‘~어지다’를 붙이지 않는다!
🔹 ‘되어지다’를 쓸 필요 없이 ‘되다’만 써도 의미가 충분히 전달됨
💡 비슷한 표현 정리:
✔ 결정되다 / 시행되다 / 변경되다 (O)
❌ 결정되어지다 / 시행되어지다 / 변경되어지다 (X)
이제 ‘되어지다’ 대신 ‘되다’가 맞는 표현이라는 거 확실히 이해되셨죠? 😊
📌 혹시 더 헷갈리는 표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!
'About > 아름다운 한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우리말/띄어쓰기]'한참 만에' vs. '한참만에' 뭐가 맞을까? 🤷♀️ (0) | 2025.02.26 |
---|---|
[우리말/띄어쓰기] '이럴 때' vs. '이럴때', 뭐가 맞을까? 🤔 (0) | 2025.02.24 |